
이웃나라인 한국과 일본은 역사적으로 서로 교류하며 지내왔기에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건축, 예술 쪽으로 비슷한 부분도 많다. 하지만 하나하나 세세히 따져보면 매우 상이하며 더 나아가 이질적이기까지 하다. 왜 이런 차이가 생겼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일본의 미술사학자인 야나기 무네요시는 조선의 예술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는데, 그는 일평생 조선의 미술품과 건축을 분석하고 연구하면서 조선의 예술에 대해 이러한 평을 남겼다. "무기교의 기교" "무관심함" "여백의 미" 이를 몇개의 키워드로 요약하자면, 현재 한국의 미로 대표되는 조선의 미(美)는 "검소", "여백", "자연그대로", "수수함" 이정도로 정리된다. (야나기 무네요시가 평한 조선의미를 제일 잘 드러낸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김정희의 세한도는 흑과 백의..

첨성대가 천문관측기구라는 설명을 들으면 의문을 품게 된다. 높이가 10미터도 안되는 첨성대를 굳이 만들어서 그 위에 올라가서 관측할 필요성이 있을까? 통일신라시대에는 농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므로 기후의 예측은 국가경영에 필요했으며 또한 국가의 길흉을 점치는 점성술이 만연했던 시절이었으므로 천문 관측은 중요한 사업이었다. 신라시대 천문관측 기록을 보면 첨성대 건립 이후에 천문관측기록이 급격히 늘어나서 이전 대비 4배에 달한다. 이것으로 첨성대가 고대 천문관측사에서 뭔가 획기적인 역할을 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첨성대의 구체적인 이용방법, 즉 관측원리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 문서는 남아있지 않으므로 갖가지 추측만 있을 뿐이다. 첨성대의 관측원리에 대한 추정은 - 첨성대의 바닥에 사람이 누워서 첨성대의 천..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랑스
- 광복절
- 대만
- 무가입 토렌트
- 한국
- 토렌트 추천
- 과학
- 일본
- torrent 추천
- 호주
- 전쟁
- 토렌트 사이트
- 815
- 문제 해결
- 미국
- 8.15
- 중국
- 문제해결
- 영국
- 타이완
- 러시아
- 이스라엘
- 토렌트
- 가입 필요없는 토렌트 사이트
- 무삭제
- 북한
- 주식
- 코로나
- torrent
- torrent 사이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