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blog.kakaocdn.net/dn/Xn7GK/btsknN0TowQ/Ex3n8VmJLCKgNige1Zbzi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tBYPI/btskgvtJ916/ZB25bk1KGuuQDnK3Ylrkq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9jp32/btskgfSbFpm/Lt9d1CsqqsNuv3fkAp9NSk/img.png)
동아일보가 운영하던 방송국.
![](https://blog.kakaocdn.net/dn/NKokj/btskgc85PgL/za9iIjkoHDTNg0BWld4t40/img.png)
1980년 11월 30일 폐국일 당시 동아일보 사옥 앞에서 촬영한 전 직원 단체사진
![](https://blog.kakaocdn.net/dn/b3CFl0/btskhcm80oe/KobGUiVavJeBVAZHkIScQ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Qd5T/btskgIfLq5Y/wIx2w4u8odtQEeuKx6kKI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kAaMe/btskgrk3EOa/0nSsGN7bKxBWeNinoQIT61/img.png)
삼성이 설립한 방송국.
이건희가 바로 이 동양방송을 통해 삼성에서의 커리어를 시작했을 정도로 삼성의 주요 산업 중 하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dHxgmq/btskrnARHHg/UYmPxATDNLLLoe8qCXWoPk/img.png)
1964년 5월 9일 RSB 라디오서울 개국 방송
https://youtu.be/XnafVDAHB2Q
1964년 5월 RSB 라디오서울 개국 당시 대한뉴스 제468호
1964년 5월 9일 옛 동양화재 사옥에서 RSB 라디오서울이라는 이름으로 AM 라디오 방송을 개국했다.
개국 당시에는 1380kHz로 방송했으나, DBS 동아방송과의 혼신 문제로 개국 한 달만인 6월 9일 640kHz로 바꾸었으며, 1978년 정부가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결의를 준수하고자 AM 주파수 간격을 10kHz에서 9kHz로 변경하면서 639kHz가 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1466C/btskrbAqZDs/Q8TWZbZ1JJn302dsiFLtp1/img.png)
TV 방송은 1964년 12월 7일에 개국했으며, 당시의 채널명은 DTV 동양텔레비전이었다.
![](https://blog.kakaocdn.net/dn/MnqJJ/btskiywruax/3pJZBeCEJKCIktnM9QuOjk/img.png)
그리고 닷새 뒤인 12월 12일에는 부산국이 개국하였다.
다만 테이프를 직접 서울에서 부산으로 공수해 방영하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서울에 비해 약 일주일 늦게 방송되었다고 한다.
생방송이 불가피한 뉴스는 부산국이 자체 제작했으며, 긴급 소식은 서울 본사에서 기차나 비행기로 공수했다고 한다.
1965년 8월 3일에는 RSB 라디오서울과 DTV 동양텔레비전을 하나로 합병해 JBS 중앙방송으로 재편한다.
이 기간 JBS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서울FM방송을 인수하기도 했다.
이후 1966년 7월 1일 JBS는 드디어 TBC 동양방송으로 사명을 바꾸었다.
그리고 그해 8월 15일부터는 서울FM방송을 동양FM방송으로 개편하면서 FM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1970년부터는 국내 최초 FM 스테레오 방송 개시)
TBC는 모기업 삼성을 빵빵한 지원을 받아 국내 최초의 녹화 드라마를 방영하기도 했다.
또한 민영방송 답게 드라마, 예능, 외화, MLB, 프로레슬링, 월드컵 등 해외 스포츠 중계에 힘을 쏟으며 70년대에 이르러서는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보도 부문 역시 민영방송 특성상 정부에 비판적인 보도를 자주 해서 경영진과 기자들이 남산으로 불려가는 일이 잦았다고 한다.
오후 9시 메인 뉴스였던 <TBC 석간>은 당시 방송 3사(KBS, MBC, TBC) 가운데 시청률 1위를 달성했을 정도.
드라마 쪽은 아예 '드라마 왕국'이라는 별명까지 얻을 정도로 명배우들이 즐비했다.
김무생, 이순재, 정윤희, 장미희, 유지인, 노주현, 이낙훈, 이덕화, 윤여정, 강부자, 여운계, 사미자, 선우용여, 김형자, 최란, 최화정, 차화연, 이미숙, 원미경 등이 TBC 전속 배우로 활동했다.
이 외에도 김영철(배우), 유동근, 전광렬도 TBC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다.
예능계에서도 허참이 전문MC로 활약했으며, 배일집, 배연정, 김병조, 이주일, 송해, 서영춘, 주병진, 김형곤, 이성미 등이 활동하기도 했다.
심지어 MBC 일기예보로 유명했던 김동완 위원도 원래는 TBC에서 활동했을 정도였다.
![](https://blog.kakaocdn.net/dn/cv5UgH/btskhMhotfV/Rq7kWRQASmOZxvpbBco050/img.png)
이렇듯 사세를 어마어마하게 키운 TBC는 1980년 8월 컬러TV 전환을 몇 달 앞두고 여의도 신사옥으로 완전히 이전했다.
무려 당시 기준 동양 최대의 방송사옥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https://blog.kakaocdn.net/dn/zNXlz/btskg944pv6/Mc9bo6k90XxLFLGBWuuazK/img.png)
1980년 11월 신군부에 의해 단행된 언론통폐합에 따라 TBC는 DBS와 동일한 운명을 맞게 되었다.
강제 폐국 및 KBS로의 흡수가 이루어진 것이다.
즉, 몇 달 쓰지도 않은 여의도 신사옥, 시험 사용밖에 못한 컬러TV 방송 장비, 그동안의 방송자료 등 TBC의 모든 것이 전부 KBS로 강제로 넘어간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jIw1s/btskigJAuB6/kwp1Sn597WbmeUFZuNK7m0/img.png)
몇 달 사용하지도 못한 채 KBS 별관이 되어버린 옛 TBC의 여의도 사옥
1980년 11월 30일 TBC TV의 마지막 프로그램 <TBC 가족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일부
* 컬러TV 장비로 촬영되었으나 방영은 흑백으로 되었다.
1980년 11월 30일 마지막 메인뉴스 <TBC 석간>
1980년 11월 30일 TBC 라디오의 마지막 프로그램 <밤을 잊은 그대에게> 일부
1980년 11월 30일 TBC 동양FM방송의 마지막 방송종료멘트
1980년 12월 1일 KBS 2TV로 통폐합 된 이후 방송된 <KBS 새가족>
이로써 TV 채널 7번의 TBC TV는 KBS 2TV가 되었으며, AM 라디오 639kHz는 KBS 제3방송이 되었다가 1981년 9월 7일 폐국되었다.
(이후 2000년 1월 1일 KBS 제3라디오로 부활했으나 2010년 1월 1일 주파수를 1134kHz로 바꾸고 개봉송신소를 철거하면서 현재는 호출부호 HLKC만 남은 상태다.)
또한 FM 89.1MHz는 KBS 2FM(KBS 쿨FM)으로 바뀌어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Bity1/btskhaCRTyA/U2QFIQHsLXqkXFDXaxnfik/img.png)
이후 2011년 12월 1일 중앙일보는 JTBC를 개국하면서 31년 만에 방송산업에 재진입했다.
(TBC라는 사명은 1995년 개국한 SBS의 대구/경북 지역 가맹사 TBC[구 대구방송] 때문에 사용하지 못했다.)
TBC 폐국 직전 중앙일보 및 TBC 직원들이 자사 자료를 상당수 복사해둔 덕분에 개국 이후 당시의 자료를 공개하기도 했다.
(사실 KBS가 저작권을 포함한 TBC의 모든 법적 권리를 갖고 있으나, 괜히 시비를 걸어봐야 욕을 먹는 쪽은 KBS라 가만히 있었다.)
![](https://blog.kakaocdn.net/dn/eGUKLz/btskgIUmKyd/l1ZZnKC8OKofJpAuH4OSM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udhKQ/btskhLbKHX4/Wje733klSW7mARsAgRvjO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gqB3f/btskgG95NVJ/kOtHuIVWQQd2tCGG1P5biK/img.png)
1971년 경상북도 대구시(현 대구광역시)에서 설립된 방송국으로, TBC 동양FM방송의 지방 가맹국이었다.
1980년 11월 30일 언론통폐합에 의해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며, FM 89.7MHz는 KBS대구FM으로 넘어가고 말았다.
![](https://blog.kakaocdn.net/dn/WeSa5/btskrmhDtV0/ED1GxgslFdfiXeuFvvgH5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IKFOf/btskizoDSYX/PwCuBTMJqk3aSuK3quN7Z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soaFz/btskftcaFs9/4WYcK7YvLJasLqtudck9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QzwEz/btskigJAuzU/xm4fYX07XZ35Pl50zTDXZK/img.png)
오랫동안 폐건물로 남아 있다가 2022년 철거되었으며, 복합커뮤니티센터가 신축될 예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o0nBf/btskhLivBwv/9AhkTZJ7jKgLBLGqXggg2k/img.png)
골 때리는 점이 원래 KBS순천방송국은 1965년 KBS여수방송국 순천중계소로 생겨났다가 1976년이 되어서야 지역국으로 승격한 곳이라는 것이다.
즉, 여수국에서 떨어져 나간 순천국이 되레 여수국을 흡수한 모양새가 된 것이다.
KBS여수방송국 사옥은 2016년 철거되었으며, 현재는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naY02/btskgdfPzzG/liLAwhtIjY2lU24VXnukek/img.png)
앞서 언급한 대로 1969년 SBC 서해방송으로 개국했다가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편입되었다.
2004년 감사원이 자체 편성률이 낮은 KBS 지역국을 통폐합할 것을 권고함에 따라 그해 10월 31일자로 KBS전주방송총국으로 통폐합되었다.
현재는 군산문화원과 군산문화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mjqi6/btskhLQlx5D/FS6aaGD3Ck8eEkIrpQwIT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csBCa/btskgqTXWMO/i1u8DXzebjLkFBFi5hVGK0/img.png)
당시 기준 지역 민영 TV 방송사 가운데 유일하게 SBS 네트워크에 포함되지 않았던 방송국이었다.
1997년 당시에는 인천광역시만 커버하는 방송국이었으나, 2000년 경기도까지 방송허가가 나면서 사명을 경인방송으로 변경했다.
스포츠 및 게임 중계로 아주 유명한 채널이었는데, 무려 MLB 경기 중계권을 독점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프로레슬링, PL, NBA는 물론 한국 선수들이 뛰었던 벨기에, 네덜란드, 스페인 프로축구도 생중계했다.
심지어 로봇배틀 프로그램까지 수입해 방영했다.
게임 분야에서도 스타크래프트 대회를 개최하면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인천에 차이나타운이 있는 만큼 중화권 드라마도 많이 방영했는데, <황제의 딸> 역시 iTV를 통해 국내에서 유명해졌다.
2003년 6월 30일에는 FM 90.7MHz로 FM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기도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a1jyB/btsklomL9wt/TV99OQYxK2yx1e7w5EXDT1/img.png)
그러나 전국 방송을 꿈꿨던 iTV와 이를 막고자 한 방송위원회 사이의 갈등, 경영진 간 갈등이 겹치며 사내 상황은 악화되었다.
대주주였던 동양제철화학(현 OCI)가 출자를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했고, 설상가상으로 iTV 사장이 정계 입문을 위해 방송사를 이용한다는 사실이 iTV 뉴스를 통해 폭로되면서 겉잡을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당연히 직원들은 파업에 나섰고, 사측은 이에 직장 폐쇄로 응답하면서 결국 방송위원회는 2004년 12월 21일 iTV의 방송 면허를 회수했다.
이에 따라 iTV는 2004년 12월 31일 오전 11시 10분 방송 종료 공지와 애국가 송출을 끝으로 폐국되고 말았다.
![](https://blog.kakaocdn.net/dn/y4TPc/btskhbPhobc/T0fIpKzSvSfD1qSMaVedM1/img.png)
다만 iTV의 라디오 방송 면허만은 유지되어 2005년 3월 1일 방송을 재개했으며, 현재까지 방송되고 있다.
특히 2007년 이후 현재까지 흑자 경영 중이며,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도 2015년 지역 민영방송 1위, 종교, 교통방송 제외 101개 채널 중 2위로 평가받을 정도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외에도 송도맥주축제와 청라와인페스티벌을 정기적으로 주최하는 등 인천 지역 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WhvS6/btskrcTEm7M/yHIiZdVpJWKLuK5mUmq9lk/img.png)
경기도 수원시를 연주소로 했던 경기도의 지역 민영 방송사였다.
그럭저럭 잘 굴러가던 방송사였지만 2019년 여러 논란과 갈등이 한꺼번에 터지면서 경기도의회 차원에서 광고 중단 및 관련 예산 삭감을 결의했다.
결국 2020년 2월 20일 긴급이사회를 통해 방송 면허 반납 및 폐국을 결정했다.
그리고 2020년 3월 29일에서 30일로 넘어가는 자정 시보를 끝으로 경기방송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https://blog.kakaocdn.net/dn/z1CBw/btskigiuXdI/HXjwzOXeY0h8VuFTlkm3Zk/img.png)
경기방송 폐국 이후 사업자 공모를 통해 FM 99.9MHz는 OBS경인TV가 가져가게 되었고, 2023년 2월 22일 시험방송을 거쳐 경기방송이 폐국된 지 정확히 3년 만인 2022년 3월 30일 OBS 라디오로 정식 개국하게 되었다.
아래는 방송국이 폐국된 것은 아니고 채널이 폐국된 사례
![](https://blog.kakaocdn.net/dn/co9Xh6/btskiAgJKi5/eIjBUMME9IK3aT8U1fgbH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nftAy/btskiSuVSao/XTgcoGJ7GNPuptbLKoaA5k/img.png)
앞서 언급한 대로 DBS 동아방송 통폐합하면서 생긴 채널이며, 1991년 AM 792kHz를 SBS에 넘기면서 폐국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dSXueX/btskgqTXWMH/YjpZHJnkYH9UB0KQq1vEW1/img.png)
전두환 정부의 과외 금지령에 따라 설립된 교육방송이었다.
교양 프로그램은 KBS가, 교육 프로그램은 한국교육개발원(KEDI) 교육방송본부가 담당하는 구조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에는 일부 비인기 종목을 중계하기도 했다.
이후 1990년 12월 27일 KEDI 교육방송본부를 교육방송원으로 개편하고 KBS 3TV를 EBS 교육방송으로 분리하면서 KBS 3TV는 폐국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eJThQz/btsklomL9wq/kHqf6qY43blO9pKyQeHGb1/img.png)
교육방송원은 이후 1997년 KEDI에서 분리되었으며, 2000년 6월 현재의 한국교육방송공사가 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xyS1A/btskhDkHi2L/vQsSHNicFKZxyQqvfbHTJ0/img.png)
'방송 연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을 풍미했던 미녀들 (0) | 2021.08.03 |
---|---|
트위터에서 선정한 K-POP 팬이 가장 많은 국가 top20 (0) | 2021.01.16 |
갈수록 지상파에 볼만한 방송이 없어지는 이유 (0) | 2021.01.13 |
유재석이 달성한 깨기힘든 대기록 (0) | 2021.01.04 |
킴 카다시안 인맥거르기 (0) | 2020.11.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8.15
- 중국
- 문제해결
- 전쟁
- 광복절
- 미국
- 프랑스
- 러시아
- 문제 해결
- 일본
- 토렌트 사이트
- 토렌트
- 타이완
- 815
- torrent 추천
- 과학
- 호주
- 북한
- 이스라엘
- 영국
- 한국
- 가입 필요없는 토렌트 사이트
- 주식
- 무삭제
- 코로나
- torrent
- 무가입 토렌트
- 토렌트 추천
- torrent 사이트
- 대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