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먹고 살기 힘들었던 우리나라의 쌀 자급을 가능하게 해준 통일벼 통일벼는 허문회 서울대 명예교수가 자포니카형 품종과 인디카형 품종을 인공 교배하여 얻은 1대 잡종에 IR8을 3원교배하여 개발하였다. 재래종은 비료를 많이 주면 너무 길게 자라서 쓰러져 버렸는데 통일벼는 키가 짧아 비료를 많이 뿌려도 잘 쓰러지지 않았다. (인디카 계열이기 때문에 밥맛은 없음) 통일벼가 도입되고 쌀 생산량이 30% 넘게 올랐고 통일벼는 일반미보다 훨씬 저렴하게 거래되었다. 밥맛 외에도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는데 바로 냉해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1980년 여름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강하게 확장되어 한반도 전역에 영향을 미쳤고 당시 8월 대구의 평균 기온은 22도였다. 동남아에서 자라는 인디카형의 세포질을 가진 통일벼는 1980년 냉..
사회
2024. 4. 1. 19:4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주식
- 토렌트 사이트
- 이스라엘
- 8.15
- 타이완
- 문제 해결
- 가입 필요없는 토렌트 사이트
- 무가입 토렌트
- 중국
- 러시아
- 영국
- 토렌트 추천
- 대만
- 전쟁
- 한국
- 광복절
- 토렌트
- 일본
- 호주
- 프랑스
- 문제해결
- torrent
- 과학
- torrent 추천
- torrent 사이트
- 무삭제
- 815
- 미국
- 북한
- 코로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