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에셜론(ECHELON)은 UKUSA 5개 회원국이 운영하는 전 세계의 통신을 감청하는 신호정보 수집 및 분석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단어다.

(AUSCANZUKUS: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 미국)

에셜론은 1960년대 냉전시대에 소비에트 연방과 중앙유럽 국가의 군사 및 외교 통신을 감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하며,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로는 테러 모의, 마약 거래, 전 국가의 군사 및 외교 통신을 감청한다고 전해진다.

이 시스템의 보고(발표)는 몇몇 공인지 등이었는데, 처음은 1988년에 나온 New Statesman의 Someone's Listening.이라는 제목으로 나왔으며, 유럽 의회의 위원회의 2001년 자료에 의해 보고되었다. 이 보고에 따르면, 에셜론은 전 세계의 전화 통화, 팩스, 이메일 등의 정보 통신을 감청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예전에 미국 NSA(국가 안보국)의 35개국의 정상 도청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전세계가 큰 충격을 받았었고, 첩보 동맹국을 제외한 주요동맹국들도 도청을 당한것으로 밝혀져서 더욱더 큰 충격을 줬었다.

어떻게 35개국이나 되는 국가원수들의 통화를 도청할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길수도 있겠지만 에셜론의 존재를 알고 있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에셜론으로 도청했을꺼라고 생각할수 있었을 것이다.

그만큼 에셜론에 대한것은 많이 알려져 있지만 생각보다 자세히 모르고 있는 사람이 많다는 반증.

 또 일부는 음모론에 불과하다며 말도 안된다는 듯이 치부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렇지만 에셜론이라는 존재는 1998년 EU 유럽의회(EU Parliament) 보고서를 통해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세상에 알려졌고 이후 2001년에 EU 유럽의회는 이 에셜론에 대응하는 방어체계 권고사항을 법안으로 통과시켜 유럽연합 회원국들에게 권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안다면 단순한 음모론으로 치부하기엔 너무나 많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것을 느낄것이다. 

그럼 지금부터 에셜론에 대해 알아보자.

여기에 나오는 관련문서는 기밀해제된 실제 문서이고 사진속 인물들도 실제 인물들임.

 

1.에셜론(ECHELON)이란?

 

서두에 밝힌바와 같이 에셜론이란 UKUSA 5개 회원국(호주,캐나다,뉴질랜드,영국,미국)이 운영하는 전 세계의 통신,신호정보 수집 및 분석 네트워크 시스템을 말한다.

일종의 첩보동맹국들로 이루어진 국가들의 통합 정보수집시스템으로 볼수도 있다.

또한 에셜론(Echelon)은 120개가 넘는 인공위성과 음성분석 능력을 가진 슈퍼컴퓨터를 동원해 하루 30억 건의 통화와 전자통신매체를 도청,감청,자료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 경제전문지 비즈니스위크는 미 국가안보국(NSA)이 전 세계적인 도청 시스템 에셜론을 통해 매일 미 의회도서관 문서의 10배가량 되는 분량을 도청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에셜론은 가공되지 않은 무수한 정보를 포착한 후에키워드를 사용하여 정보를 걸러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예를 들자면 인터넷,유선전화,핸드폰 등으로 테러(terror),폭탄(bomb),미 중앙정보국(CIA),또는 민감한 기밀사항을 언급한다고 하면 바로 에셜론의 키워드 분석에 의해 추적의 대상이 될수 있다는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에셜론에 의한 인공위성 통신망지상기반 통신망여타 라디오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든 전화와 팩스, e메일텔렉스 유무선 통신내용을 무차별적으로 수집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굉장히 큼.

해리 트루먼 대통령 (Harry S. Truman)

초기의 에셜론은 미국과 영국(1차 가입국)이 비밀리에 체결한 ‘UKUSA 안보협정에 따라 두 국가가 통신정보를 공유하려고 추진됐고, 이에 미국 정부는 이를 주도할 전문 정보기관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어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승인에 따라 1952년도에 신호정보와 통신보안을 전담할 미 국가안보국(NSA)을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미 국가안보국(National Security Agency-NSA)

이때부터 NSA는 전자신호와 통신신호 수집처리분석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됐으며통신신호 수집과 분석을 주목적으로 하는 에셜론도 자연스럽게 NSA가 전담하게 되었다.

그후 에셜론 시스템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호주뉴질랜드캐나다(2차 가입국) 3개국이 가세했다.

해리 트루먼 대통령의 NSA 설립에 관한 1급 기밀문서이고 1981년에 기밀해제됬으나 시간이 지나고 이후 미국 정보공개법에 따라 공개된 문서)

1960년대에 에셜론 프로젝트가 본격화 되었으며 사용용도는 2차 세계 대전이 끝난후 급속도로 성장했던 소련과의 냉전시대에서의 승리를 위해 소련을 비롯한 그 동맹국과 중앙유럽 국가의 군사 및 외교 통신을 감청에 사용되었다고 하며소련붕괴 이후로는 테러 모의마약 거래전 국가의 군사 및 외교 통신을 감청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군사 및 외교뿐만이 아닌 사실상 모든 분야에 걸쳐 도청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것이 전문가들의 대다수 의견이다.

스노든의 폭로사건(NSA의 38개국 대사관 도청의혹)과 언론보도로 알려진 NSA의 35개국 정상 도청사건이 이 사실을 증명해준다.

 

2.에셜론(ECHELON) 존재의 폭로.

 비공식적으로 최초로 폭로됬었던것은 1988년 미국에서다.

Margaret Newsham

(Margaret Newsham - 전 록히드 마틴 정보시스템 담당자. 폭로후 록히드 마틴에서 해고되고 퇴직금, 정부보조금 지원이 일체 끊겼다고 함. 지금은 악성종양과 생활고로 고생한다고만 알려져있다.)

사건의 발단은 마가렛이 NSA가 유럽과 그 동맹국을 감시하는 행태를 양심선언 형식으로 고발함으로써 벌어지게 되었다.

마가렛은 군산복합체라는 제도를 통해 록히드 마틴사의 직원으로 입사했지만 NSA본부에서 직업훈련을 받은 계약직 NSA 요원이었다.

 

(록히드 마틴/지금은 마틴 아메리카와 합병후 록히드 공사로 바뀌었다)

록히드 마틴 하면 항공우주산업이 제일먼저 떠오르겠지만 록히드 마틴은 다양한 군사관련 산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중 정보 시스템도 담당하고 있었지정보시스템중에서도 에셜론과 관련있는 통합시스템 및 솔루션 담당회사는 메릴랜드주 게이더스버그에 위치해있다.

마찬가지로 NSA본부도 메릴랜드주에 위치해있다.

 

(메릴랜드주에 위치한 록히드 마틴 정보시스템 회사미 국가안보국(NSA)본부)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Permanent Select Committee on Intelligence-HPSCI)

 마가렛의 고발때문에 미국 정치계 내부가 떠들썩 했었다.

결국 미국 하원의원 정보위원회가 열렸고, 이 사안은 굉장히 심각한 사안이었지만 국가안보(National Security)가 달려있다는 문제로 비공개(off the record)로 진행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당시 미국언론에 에셜론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던것.

이때 처음으로 미 국가안보국(NSA)의 존재가 들통났고, 이는 약 30년이 넘도록 미국 상,하원 의원들조차 모르고 있었던것임.

에셜론에 관한 문제는 미국의 중대한 국가안보문제였고 내부에서 어느정도 수습을 했기때문에 그다지 큰 파장은 없었다.

 

시간이 흐르고 1998년 유럽의회(EU Parliament)에 한 보고서가 제출이 되었다.

 

(뉴질랜드 기자 니키 헤이거- Nicky Hager),(영국 기자 던컨 켐벨- Duncan Campbell )

(영국 북부 요크셔에 위치한 에셜론 기지)

에셜론 가입국인 뉴질랜드의 니키 헤이거와 영국의 던컨 켐벨이라는 기자들이 에셜론 프로젝트가 시작되고 난 후부터 기이한 모습을 한 기지국의 모습에 의문을 가지고 조사를 했었다

그 과정에서 여러 폭로자가 나왔었고 공식적으로 1998년도에 EU 유럽의회에 보고서가 제출됨으로써 전세계에 그 실체가 들어나게 되었음

(던컨 켐벨이 당시 유럽의회에 제출했었던 실제 보고서)

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미국을 중심으로한 5개 국가(호주,캐나다,뉴질랜드,영국,미국)로 이루어진 첩보동맹국들이 유럽을 감시하고 있다는게 된다.

그래서 이 보고서를 받은 EU 유럽 의회는 발칵 뒤집어졌다. 

설상가상으로 1999년에 호주 정부가 UKUSA 5개 회원국에 가입되어있다고 언론을 통해 공식 발표함에 따라 유럽언론이 엄청 들끓었었다.

호주 에셜론 기지- Australian Defence Satellite Communications Station (ADSCS)

(사진속 왼쪽이 카를로스 코엘류)

EU 유럽 의회는 즉시 에셜론 차단 임시위원회(Temporary Committee on the ECHELON Interception System)를 구성하고 회장으로 카를로스 코엘류 포르투칼 유럽의회의원을 선정하고 에셜론에 대한 조사가 EU회원국들 주도로 시작되었다.

(실제 당시 에셜론 차단 임시 위원회에서 증언하고 있는 니키 헤이거)

니키 헤이거 뉴질랜드 기자가 에셜론 차단 임시위원회에 증인으로 출두하면서 임시위원회의 조사에 힘이 실리게 되었다.

임시위원회의 조사가 약 1년간 진행되었고 2001년에 에셜론 차단 임시위원회는 에셜론에 대한 조사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하기에 이르렀음.

(2001년 에셜론 차단 임시 위원회에서 쓴 최종 보고서)

이 보고서에 의하면 에셜론은 유럽의 모든 전화와,팩스 인터넷망을 감시할 능력이 충분히 되며 지금도 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사실상 에셜론에 의한 도청을 방지할 능력을 갖추지 못하였다는게 임시위원회의 조사결과였고 곧 2001년에 에셜론 방어책으로 내놓은 44개 권고사항을 367대 159의 압도적 표차로 통과시킨다.

미국이 주도하는 대규모 첩보망 에셜론에 대해 방어체계를 구축하도록 회원국들에 권고하기로 결정하고 에셜론에 가입되어있는 유럽국가들에게는 탈퇴하라고 촉구하기도 함.

(EU 유럽의회(EU Parliament) 보고서에 의한 자료)

캐나다가 빠져 있지만 캐나다는 캐나다 통신안보부(Communications Security Establishment Canada)가 참여하는것으로 보고있다.

(조지.W.부시 대통령 -George Walker Bush)

EU 유럽의회는 즉시 미국에 항의하고 조사단을 꾸려 미국에 가려고 준비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2001년 미국 부시 정부는 에셜론에 대한것은 사실무근이며 그런건 존재 하지 않는다고 공식 발표함으로써 유럽 의회 파견 조사단은 해체되었다

 

3.에셜론 3차 가입국 대한민국

2001년 EU 에셜론 차단 임시위원회에 보고서에 의외의 사실이 밝혀진다.

에셜론 프로젝트에 가입되어 있는 국가는 미국,영국(1차 가입국),호주,캐나다,뉴질랜드(2차 가입국)을 제외한

또다른 국가들도 가입 되어있다고 조사되었다.

NATO가입국 7개국과 한국,일본,터키를 합한 총 10개국(3차 가입국)이 그들이다.

(일본 미사와 에셜론 기지 Security Hill at Misawa AB)

일본 같은 경우에는 미사와에 있는 에셜론 기지를 세우면서 그 과정으로 에셜론 3차 가입국으로 가입한것 같고

한국 같은 경우에는 해저케이블에 관련이 많기 때문에 3차 에셜론 가입국이 된것으로 보고 있다.

(에셜론에 관한 아사히 신문 기사)

이미 일본의 아사히 신문에서 보도가 났었지만 미 국가안보국(NSA)은 해저케이블로도 직접 정보를 수집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해저케이블 지도)

2001년 개통된 부산 C2C 해저케이블은 한국-일본-필리핀-싱가포르-홍콩-대만-중국을 거쳐 다시 한국으로 연결하는 고리형 케이블이다.

전체 길이는 17000에 달하며회선 용량은 7.68T(테라·1)bps

또한 미국이 목록을 만든 해외 '핵심 시설'에서 한국 쪽 주요 목록은 해저케이블이기때문에 미국측에서는 한국의 도움이 필수였을테고 2001년 부산 C2C 해저케이블 완공전에 에셜론에 가입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2001년 EU 유럽 의회 조사에서 한국이 거론된것.

(과거 정보통신부,2008년 폐지됨에 따라 각 임무가 분산되었다.)

실제로 2003년 8월에 자칭 시민운동가가 정보통신부장관을 상대로 에셜론 가입정보를 공개하라며 서울행정법원에 정보공개 소송을 냈지만, 당시 서울행정법원은 사실무근이고 관련 자료 없다.”는 정통부 주장을 받아들여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던적이 있었다.

에셜론 프로젝트에 가담하고 있다고 의심받는 1,2,3차 가입국 15개 국가중에서 호주를 제외한 14개 국가에서 에셜론 관련의혹을 부인한셈.

 

(뉴질랜드 기자 니키 헤이거- Nicky Hager),(영국 기자 던컨 켐벨- Duncan Campbell )

또한 던컨 켐벨과 니키 헤이거에 따르면 1,2차 가입국은 에셜론의 모든 정보를 입수하지만 3차 가입국은 일부 제한적인 정보에 접근할수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규모가 커지면서 3차 가입국에 대한 영향력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3줄요약

 1.에셜론은 전세계 커버 가능한 첩보감시망이다.

2.1998년 EU 유럽의회에 제출된 보고서를 통해 그 실체가 공식적으로 들어났다.

3.대한민국도 에셜론 가입국중 하나일수 있으며 에셜론의 영향력은 점점 증대되고 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