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단군신화
옛날에 하느님(환인)의 아들 환웅이 나라를 다스리고 싶어하여 인간 세상을 자주 내려다 보았다. 환인이 아들의 뜻을 알고 지상 세계를 두루 내려다보니 태백산 지역이 인간들에게 큰 도움을 줄 만 하였다. 이에 천부인 3개를 주어 보내 그곳을 다스리게 하였다.
환웅은 무리 3천명을 이끌고 태백산 꼭대기 신단수 아래로 내려와, 그곳을 신시(神市)라 부르고, 스스로를 환웅 천황(桓雄 天皇)이라 하였다. 그는 바람을 다스리는 풍백, 비를 다스리는 우사, 구름을 다스리는 운사에게 농사와 생명, 질병, 형벌과 선악을 맡게 하고, 인간살이에 관한 360여가지 일을 다스리게 하여 정치와 교화를 배풀었다.
그때 마침 곰 한마리와 범 한마리가 있어, 같은 굴에 살면서 항상 환웅에게 사람이 되기를 빌었다. 환웅은 영험 있는 쑥 한 자루와 마늘 스무 톨을 주면서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날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될 수 있으리라." 하였다.
곰과 범은 이것을 먹으면서 동굴 생활을 시작하였다. 곰은 삼칠일(21일)동안 잘 참고 견디어 여자의 몸으로 변했으나, 범은 이를 참지 못하고 뛰쳐나가 사람이 되지 못하였다. 여인이 된 곰(웅녀)은 혼인할 대상이 없었으므로 늘 신단수 아래에서 아이를 낳게 해달라고 빌었다. 이를 본 환웅천황은 잠시 인간으로 모습을 바꾸어 그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으니, 그이름을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단군신화 해설
▤ 하느님은 사람의 봉사자
사람의 아들이 사람이듯이, 하느님의 아들은 당연히 하느님이다. 말하자면 신(神)이 인간 세계를 그리워해서 사람사는 세계로 내려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짐승들의 왕인 호랑이와 곰도 사람살이를 소원해서, 마늘과 쑥을 먹으며 사람되기를 소원했다는 얘기다.
이는 하늘나라의 신보다도, 짐승들의 왕보다도 인간이 으뜸이라는 "인간중심주의" 사상이다. 단군신화를 보면, 하느님은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 여러가지 법과 신하들과 보물을 가지고 인간세계를 이롭게 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단군신화의 하느님은 인간을 이롭게 할 뿐, 인간들에게 아무 것도 요구하는 것이 없다. 하느님이지만 인간들의 삶을 그저 윤택하게 하는데 관심이 있을 뿐, 인간들의 바른생활에는 관심이 없었다는 얘기다.
전통적인 한국인들의 종교관은, 신은 그저 인간을 도와주는 서비스맨일 뿐 섬기고 경배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다.
오늘날 한국의 기독교인들이 이른바 "살아서는 부자되고 죽어서는 천국으로 보내주는 고마운 존재"로 하나님을 경배할 뿐, 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데 관심이 없고, 그저 "들어가도 복을 받고, 나가도 복을 받는 데"만 열심이 쏠려있는 것은 이와 같은 '단군신화'의 신관(神觀)이 우리의 심층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 하느님은 무엇이든 자기 뜻대로 하는 존재
사람이 되기를 소원하는 곰과 호랑이에게 내준 하느님(환웅)의 숙제는, 지극히 공평하지 못하다. 육식동물인 호랑이와 잡식성인 곰에게 식물성인 "쑥과 마늘"을 먹을거리로 내어준 것을 보면, 애초부터 곰에게만 일방적으로 유리한 경쟁이었다. 또한 100일 동안 굴속에서 햇빛을 보지 말고 지내라는 것도 그렇다.
이는 굴 속에서 겨울잠을 자는데 익숙한 곰에게는 일도 아니지만, 겨울잠을 자지 않는 호랑이에게는 도무지 불가능한 숙제인 것이다. 거기다가 곰이 100일을 채우지 못했는데도, 호랑이가 포기하자 마자 그 다음날 바로 곰을 사람으로 만들어주었다. 하느님 자신이 내세운 조건을 스스로 어기는 하느님 - 이처럼 단군신화의 하느님은 완벽한 존재로서의 하느님이 아니라 얼렁뚱땅 일처리를 하는 "인간적인?" 하느님인 것이다. 또한 공정함과는 거리가 먼, 제 멋대로 힘을 행사하는 편파적인 하느님인 것이다.
이는 힘 있는 자가 '정의와 공평'이라는 일정한 원칙이 아니라, 제 맘에 끌리는 대로 편파적으로 나라를 다스려도 좋다는 심리를 나타낸 것이다. 저 사나운 호랑이가 왜 이러한 불공평한 일에, 시비를 따지지도 못하고 죽기 직전까지 참기만 하다가 도망치고 말았을까? 이는 "너희 백성된 자들은 높으신 분들이 하는 일에 시비를 가리지 말고 고분고분 따라야 한다"는 뜻일 것이다.
▤ 인간은 하늘과 땅의 주인공
단군의 아버지는 하느님의 아들이요, 어머니는 곰의 능신으로 나타낸 것은 단군이 하늘의 신성한 존재이면서,
짐승의 피를 받은 - 하느님과 짐승의 중간 존재인 "인간"임을 나타낸 것이다. 우리 민족이 하늘의 씨(환웅)를 땅의 몸(웅녀)으로 받은 위대한 존재(단군)의 후손(한민족)이라는 이야기다.
우리 한국인들이 보통 "인간적"이라고 하는 말에는, "우리 인생살이에서 무엇보다 소중한 것은 인간적인 것"이라는 단군신화의 정신이 들어있는 것이다.
'국가기념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 3일 학생독립운동 기념일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일) (0) | 2020.10.31 |
---|---|
10월 9일 한글날은 언제부터 공휴일이 되었는가? (0) | 2020.10.06 |
개천절의 의미와 유래 (0) | 2020.10.02 |
한가위 추석음식 종류 (0) | 2020.09.28 |
추석의 유래및 한국과 중국의 추석풍습 (0) | 2020.09.28 |
- Total
- Today
- Yesterday
- 815
- 한국
- 이스라엘
- 일본
- 미국
- 영국
- 토렌트 추천
- 문제 해결
- 광복절
- 코로나
- torrent 추천
- 과학
- 8.15
- 주식
- 무삭제
- torrent 사이트
- 타이완
- 토렌트
- 가입 필요없는 토렌트 사이트
- 무가입 토렌트
- 북한
- torrent
- 대만
- 문제해결
- 중국
- 호주
- 전쟁
- 토렌트 사이트
- 러시아
- 프랑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