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나라는 일제시대를 겪으며 많은 일본어가 자리잡게 되었고
그로인해 일본이 패망하고 68년이 지난 지금에도 많은 일본어의 찌꺼기들이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어
고립된 집단일수록 용어의 변화가 적은 편이다.
고립된 집단의 대표격으로 의학계에서 쓰이는 복사뼈라는 말은
이미 널리 민간에서 복숭아뼈로도 쓰이고 있음에 불구하고 한동안 표준어가 아니었지 ㅇㅇ
복숭아꽃이 복사꽃과 함께 표준어로 허용되는 순간에도 복사뼈만을 인정했었거든
지금은 바뀌었지만 말야
지금부터 이야기할 군대에서도 많은 일본식 표현들이 쓰이고 있지
자 그럼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볼까?
![](https://blog.kakaocdn.net/dn/6bRUj/btqJ6bXvG22/KPX7jUqpYNl3acut3ZOvP0/img.jpg)
<수입>
총기수입, 군화수입 등으로 많이 쓰이는 이 수 입이라는 용어는
영어의 Sweep(쓸어내다)에서 유래했다고 알고있는 사람들이 많으나
일본어의 手入れ(테이레:손질)에서 한자어 手入(수입)만을 따와 읽은 정체불명의 단어에 불과하다 ㅇㅇ
손질로 순화하는 것이 옳지
![](https://blog.kakaocdn.net/dn/Qyu95/btqJ4GQ0LTF/AJiUK2bbE1eH4LuTMvP6s1/img.jpg)
<나라시>
군대에서 흔히 평평하게 작업을 할때 나라시친다라고 표현하는데
일본어 동사 均す(나라스: 균등하게 하다)의 명사형에서 유래했다.
이것은 평탄화로 순화시키는게 옳다
![](https://blog.kakaocdn.net/dn/6y7aM/btqJZnydGwJ/mtle2suYWWabNLGKnsBxkk/img.jpg)
<엑스반도>
엑스밴드의 밴드(band)를 일본식 발음으로 반도(バンド)라고 읽는데 그 발음을 그대로가져다 쓰는 예.
이런건 빠르게 시정되어야할듯 ㅇㅇ
![](https://blog.kakaocdn.net/dn/bZREXQ/btqJ4HPUboU/VKEdNVfXW4wKXGOt9D2CNK/img.jpg)
<모도시>
자자 핸들 이빠이 감고, 자자 다시 모도시하고~ 이런식으로 쓰이는 이 말은
원래대로 되돌린다는 표현의 일본어 戻す(모도스)의 명사형 표현을 그대로 가져와 쓰는 말이야
핸들 제자리 정도로 순화할수 있지
![](https://blog.kakaocdn.net/dn/ei8ZqH/btqJ8gxuKo9/n9ZPfkWcPypXUw6YC9dMoK/img.jpg)
<가라>
계원 : 김xx 병장님 싸인받으러 왔지말입니다.
김병장 : 가라싸인으로 대충 니가 좀 하면 안되냐?
군대하면 가라고 가라하면 군대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거야.
행군할때도 가라군장을 싼다든지, 교육대장에 가라싸인을 한다든지 ㅇㅇ
이건 일본어 모르는 게이들도 대부분 알고있을거야
일본어의 空(거짓, 빈것)에서 유래한 말이야
![](https://blog.kakaocdn.net/dn/cn2yIb/btqJXWt3cqT/30ls1g0yz9RrRSFZvxKal0/img.jpg)
<시마이>
오늘 작업 시마이하자! 할때 쓰이는 이 시마이는 군대가 아닌 곳에서도 쓰이고 있어
일본어로 끝, 마무리를 나타내는 仕舞い or 終い(시마이)에서 유래했다.
![](https://blog.kakaocdn.net/dn/d65D94/btqJ6dVllze/qoo4DxvSuAYGEqbKhBnNh1/img.jpg)
<호루>
군용차 뒤에 씌우는 천막, 덮개를 나타내는 이 말은
일본어의 幌(호로)에서 유래한 말이야.
차 덮개 정도로 순화하면 좋을듯 ㅇㅋ
![](https://blog.kakaocdn.net/dn/VTN3P/btqJ91UnTsl/OG37SdoTficJ9zZjup4ad0/img.jpg)
<짬밥>
짠밥 유래설이 있고 일본어 残飯(잔반 : 잔빤)유래설이 있음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지만
맛이 짠 밥에서 유래했다기 보다는 잔반같은 개밥을 먹는다는 느낌에서
유래한 느낌이 있어서 일본어 유래설에 무게를 두고싶음
![](https://blog.kakaocdn.net/dn/QIE4Y/btqJXVhxDdG/gklOQPPajJLocZJYZxukz1/img.jpg)
<찐빠>
찐빠는 찐빠내다, 찐빠났다의 용도로 쓰이며
흔히 말하는 실수나 빵꾸(빵꾸또한 punk의 일본식 발음에서 유래했지만...)가 나는 경우를 지칭하는 말로
일본어의 (跛:친빠)에서 유래한 말로 추정돼
자동차 정비쪽에서 쓰이는 찐빠도 같은 어원인것으로 추측하고 있어 ㅇㅇ
![](https://blog.kakaocdn.net/dn/GgYot/btqJ8e0KBBt/5QCzQ0De1QADTipaIB2fS1/img.jpg)
<오함마>
타짜에서 아귀가 '아그야 슬슬 오함마 준비해야 쓰것다'라고 해서 더 유명해진 오함마는
일본어에서 '크다'를 나타내는 大(오오) + 해머를 나타내는ハンマー(함마)에서 유래했어
큰 망치로 바꿔서 부르는게 좋지만 왠지 착착 달라붙는 표현이지
![](https://blog.kakaocdn.net/dn/dPSMPg/btqJ4F5B93i/S9GxYY0lgkkMDg46xT26K0/img.jpg)
<하이바>
섬유질을 나타내는 fiber의 일본식 발음ファイバー에서 유래했다.
이거슨 방탄헬멧으로 순화해야할 대상 ㅇㅇ
![](https://blog.kakaocdn.net/dn/bdEKtN/btqJ92Z3TeF/cL1MPT14QqwZshKvf8XIW0/img.jpg)
<단까>
천으로 만들어 환자등을 이송하는데 쓰이는 운반도구를 군대에서 단까라고 하는데
이건 일본어의 担架(단까)에서 유래했어. 들것으로 순화하면 ㅇㅋ
![](https://blog.kakaocdn.net/dn/baDsJg/btqJ0nSdDyW/FkTrnUEnDiIVpG10MDpvf1/img.jpg)
<빠루>
Bar를 일본식으로 읽은 빠루.
쇠막대기를 나타낸다.
![](https://blog.kakaocdn.net/dn/VX8IK/btqJZoqhQx6/lv9iiknfiBKeInMnZIut80/img.jpg)
<반합>
일본식 한자어인 飯盒에서 유래.
도시락으로 순화
![](https://blog.kakaocdn.net/dn/b78cP1/btqJZnZdwsR/sECJZpdnk193UeTArOyxNk/img.jpg)
<파지>
무언가를 움켜쥐거나 잡고있는 것을 나타내는 군대 용어임
한자는 잡을 파(把)에 가질 지(持)자로 쓰는데 전형적인 일본식 조어다. (把持:はじ)
![](https://blog.kakaocdn.net/dn/bNeGcx/btqJZnydGvu/DIyRLVxrP5YKCvPXOhKpP1/img.jpg)
<요대>
허리띠를 나타내는 이 말은
일본어 腰帯(코시오비)를 한자어로 그대로 읽은 일본식 표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z7FIq/btqJ4HPUbmt/ckpm8oEAXi06tsG7QFk0Kk/img.jpg)
<모포>
이또한 일본식 조어 毛布(모후)에서 유래.
담요로 순화해야 옳음 ㅇㅇ
![](https://blog.kakaocdn.net/dn/cdl3Xa/btqJZoqhQAU/ulGDOQU3UPRoHNDV2edOG1/img.jpg)
<사역>
육군에서는 작업이라고 표현하는 말을 공군에서는 사역이라 표현한다.
이 사역이라는 말 역시 일본어 使役(시에키)에서 유래한 말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jEm1v/btqJ6dA17JB/blZPteW6N7KXEd21p2Kjn1/img.jpg)
<도수체조>
앞으로 군대갈 미필 게이들이 전역하는 그 순간까지 수도없이 하고 나올
국군도수체조. 이 도수체조도 일본어 徒手体操(토슈타이소)에서 유래함
맨손체조로 순화하는게 옳음 ㅇㅇ
![](https://blog.kakaocdn.net/dn/dWd6wI/btqJ93LqZ02/rWuoIsWbrkXvkuTbuWdQCk/img.jpg)
<순검>
해병대에서 점호대신 쓰이는 용어인 순검 역시
일본식 조어 巡検(쥰켄)에서 유래했다.
![](https://blog.kakaocdn.net/dn/8ZsOM/btqJ0oKjM4r/UoWFcCyBYSJnY5IYY9W5t0/img.jpg)
<고참>
일본식 조어 古参(코산)에서 유래함.
선임병으로 순화대상
![](https://blog.kakaocdn.net/dn/baJJRl/btqJ4HCpQtH/YQCdDd0pwd3Z55D33F2yw0/img.jpg)
<작일/금일/명일>
"금일 점호는 취침점호입니다"
어제, 오늘, 내일을 나타내는 이 한자어는
일본어의 昨日(키노) 今日(쿄) 明日(아시타)를 그냥 한자만 들여와 그대로 읽은 경우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qyhdk/btqJ8fFmoof/xlhKkroT3sead6CVhYNcxk/img.jpg)
<시건장치>
시건(施鍵)이란 잠금을 나타내는 일본식 표현에서 유래했다.
참고로 공군에서는 관건(關鍵)이라는 표현을 쓴다.
덧붙임, 이렇게 평상시에 잠겨져있는 총기를 열쇠를 공군에서는 총가키라고 하는데
이또한 銃鍵(쥬-카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鍵(카기)라는 말 자체가 일본어로 열쇠를 나타낸다
![](https://blog.kakaocdn.net/dn/OAuBV/btqJ4GDuEID/YAs23KzHl4efovTUZFwkF1/img.jpg)
<관물대>
장병들의 물건을 넣어두는 개인공간을 말하는 이 용어는
관급품, 그러니까 관청에서 나누어주는 물건을 담는다는 뜻에서 관물(官物)대로 쓰이고 있는데
이것 또한 일본식 조어에 불과하다.
개인물품대로 바꿔 쓰거나 차라리 익숙한 사물함으로 쓰는것이 옳음
덧붙여 공군에서는 관물함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mJjmn/btqJ6c9WYvT/zVkJfNxuJxQiqWkiOdm031/img.jpg)
<불출>
물건을 내어준다고 할때 불출이라고 표현을 하는데 (총기불출, 보급품 불출 등)
이또한 일본어 払い出し(하라이다시)를 한자어만 그대로 가져온 말에서 유래했지
지급정도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https://blog.kakaocdn.net/dn/5CS4F/btqJ1MEbq1l/IZucUMRKv4pCpawlGVmSmk/img.jpg)
<미싱하우스>
주로 육군에서 쓰이는 용어로 내무실 대청소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Missing House? 이또한 콩글리시인지 말이 되지 않는 영어야.
이것은 일본어의 水直し(미즈나오시:물청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지배적이야.
덧붙여 해군에서는 와싱, 해병대에서는 쇼핑(?), 공군에서는 미사리라는 용어등으로 쓰인다고 해
![](https://blog.kakaocdn.net/dn/AXExp/btqJ91UnTrc/4F6Eevp7d0fcWPg81oyud0/img.jpg)
<기합>
최근에는 얼차려, 동기부여 등으로 순화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또한 일본어의 気合い(키아이)에서 한자만 따와 읽은것에 불과함 ㅇㅇ
![](https://blog.kakaocdn.net/dn/yAeZ2/btqJ3gLObLO/BJO4LyQD5tK2S9U1GjE9FK/img.jpg)
<불침번>
잘 알다시피 밤에 잠을 자지 않고 병력을 점검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이또한 일본식 한자어 不寝番(후신반)에서 유래함 ㅇㅇ
![](https://blog.kakaocdn.net/dn/bkVrOr/btqJ4HCpQwD/4VDfs0AIHDbXHpo8Oq7Xjk/img.jpg)
<오사마리>
오사마리를 잘 해야지!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이 말 역시 일본어같지?
당구장이나 건축업계에서도 쓰이는 이 말은
마무리를 나타내는 일본어의 収まり, 納まり(오사마리)에서 유래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BU4nN/btqJ3g553rX/9qP15LmgzKOZRZqgkYAhpK/img.jpg)
<기리까시>
해병대에서 쓰이는 이 용어는 병사에서 부사관으로 신분을 변환하는 것을 나타내
딱 들어도 일본어 같지? 확실하지 않지만 일본어로 바꿔치다, 갈다를 나타내는
切り替える(키리카에루)에서 유래하지 않았나 생각해
![](https://blog.kakaocdn.net/dn/bqmqzw/btqJ3iCSHa8/eJJBTI3gQKEhODGXmQf3LK/img.jpg)
<위병오장>
해군에서 쓰이는 군기를 담당하는 부사관을 나타내는 말이다.
여기서 오장은 구 일본군 계급중 하나인 오장(伍長)에서 유래했고.
오장 바로 윗계급에 군조(軍曺)가 있는데 우리나라 계급으로 치면 중사 쯤 되는 계급이 되겠다
케로로 중사도 일본 제목으로 보면 케로로 군조라고 적혀있는데 이를 알고있는 게이들도 있을거야 ㅇㅇ
![](https://blog.kakaocdn.net/dn/dKOPqG/btqJWRzIpdA/7XIbDh2TMfqkQ7bSZejan0/img.jpg)
<일조/일석점호>
매일 아침에 기상한 뒤 하고, 잠들기 전에 하는 점호를 일조, 일석점호라고 하는데
일본식표현 日朝(닛쵸) 日夕(닛세키)에서 유래했어. 아침점호, 저녁점호로 충분하다
정리해보면 군대용어에는
첫째, 일본어 발음 그 자체를 가져다 쓴 것
둘째, 일본어에서 한자어만 가져와서 음독으로 읽는 것
셋째, 일본식 조어를 가져와 쓰는 것
크게 세가지가 있는거지!
이 밖에도 많은 용어들이 일본식 표현으로 쓰이고 있어
차차 바로잡아 나가는 것같지만 아직까지도 많이 남아있는것 같다
'군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레스타인 하마스 미사일의 위력 (0) | 2021.05.28 |
---|---|
육군 기준 전쟁 시 알아야할 것들 (0) | 2021.04.06 |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 애쓰고 있는 군사분야 5가지 (0) | 2021.03.18 |
사창리 전투로 와해된 6사단에게 호지 중장이 보낸 편지 (0) | 2021.02.25 |
태국의 군사력 (0) | 2020.11.03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한국
- 대만
- torrent 추천
- 주식
- torrent 사이트
- 북한
- 문제해결
- 미국
- 호주
- 과학
- 프랑스
- 토렌트 추천
- 무삭제
- torrent
- 이스라엘
- 토렌트 사이트
- 광복절
- 토렌트
- 문제 해결
- 가입 필요없는 토렌트 사이트
- 러시아
- 중국
- 영국
- 무가입 토렌트
- 코로나
- 타이완
- 전쟁
- 8.15
- 일본
- 815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