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차례 절차
(1) 재계(齋戒): 근신하고 목욕재계하며 안팎을 깨끗이 청소한다.
(2) 설위, 진기(設位. 陳器): 차례 지낼 곳의 위치를 정하고 기구를 배설한다.
(3) 수축(修祝): 평소에 신주가 안 계시면 지방으로, 축문을 읽을 예정이면 축문을 쓴다
(4) 척기, 구찬(滌器, 具饌): 제기를 닦고 제수를 마련해서 큰 상에 차린다.
(5) 변복취위(變服就位): 자손들이 옷을 챙겨 입고 정한 위치에 선다.
(6) 설소과주찬(設蔬果酒饌): 식어도 상관없는 제수를 먼저 차린다.
(7) 신위봉안(神位奉安): 윗대부터 차례로 교의 위에 신위를 모신다.
(8) 분향(焚香): 제주가 읍하고 끓어 앉아 향을 세 번 사르고 재배한다.
(9) 강신(降神): 제주가 읍하고 끓어 앉아 집사가 강신잔에 따라 주는 술을 모사기에 세 번 나누어 모두 지우고 재배한다.
(10) 참신(參神): 제주를 비롯한 모든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한다.
(11) 진찬(進饌): 적과 함께 식어서는 안 될 모든 제수를 웃대 제상부터 차례로 올린다.
(12) 헌작, 유식(獻爵, 侑食): 제주가 주전자를 들어 윗대 고위의 잔부터 아랫대 비위의 잔까지 차례로 다르고 주부는 윗대 고위부터 아랫대 비위까지 차례로 숟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을 골라 시접에 걸쳐 놓는다.
(13) 낙시저(落匙著): 7~8분가 조용히 시립해 서 있다가 주부가 윗대 고위부터 차례로 숟가락을 뽑고 젓가락을 내려 시접에 담는다.
(14) 사신(辭神): 모든 자손이 남자는 재배, 여자는 4배 한다.
(15) 납주(納主): 신위를 원래 자리로 모신다. 지방이 있으면 태워서 재를 향로에 담고, 축문을 읽었으면 축문도 태워 재를 향로에 담는다.
(16) 철찬(撤饌): 제례음식을 제상에서 내린다.
(17) 음복(飮福): 자손들이 제사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유덕을 기린다.
'국가기념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8 민주운동 기념일 원인 과정 결과 의의(2월 28일) (0) | 2021.02.24 |
---|---|
세배 및 절 하는법 [남,녀] (0) | 2021.02.10 |
설날의 뜻 유래 의미 음식 및 풍속 (1) | 2021.02.08 |
산타크로스, 트리, 루돌프 등 크리스마스의 유래 (0) | 2020.12.23 |
12/25 성탄절 크리스마스 유래및 역사 (0) | 2020.12.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무가입 토렌트
- 가입 필요없는 토렌트 사이트
- 이스라엘
- 문제 해결
- 일본
- 8.15
- 문제해결
- 러시아
- 한국
- 토렌트 사이트
- 중국
- 토렌트 추천
- 무삭제
- 타이완
- 코로나
- 815
- torrent
- torrent 추천
- 호주
- 대만
- 영국
- 토렌트
- 프랑스
- 북한
- 광복절
- 주식
- 과학
- torrent 사이트
- 전쟁
- 미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