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 소개해드릴 지역권은
앞서 소개해드린 지상권만큼이나 생소한 개념입니다.
으레 '지역'이라고 한다면 '위험 지역', '지역 발전'처럼
특정 공간을 의미하거나 수도권이 아닌 곳을
떠올리기 마련입니다만
물권에서 '지역'은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땅 지(地)에 부릴 역(役)을 쓰는 말로
남의 땅을 자기 땅에 이득이 되도록 쓰는 걸
'지역'이라고 하며,
이 권리를 '지역권'이라고 합니다.
무슨 뜻인지 바로 와닿지 않으실 겁니다.
앞서 본 지상권이나 토지 임대차처럼
남의 땅을 빌려서 쓰는 것도 아니고
남의 땅을 내 땅에 이득이 되도록 쓴다는 게
흔하게 볼 수 있는 권리는 아니죠.
그래서 대중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입니다.
지역권을 가르치는 분들이 가장 흔하게 쓰는 예로는
통행지역권이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Dominant parcel A(이하 A)라는 땅은
길(Road)과 떨어져 있어
Servient parcel B(이하 B)라는 땅을 거치지 않으면
들어갈 수 없는 상태에 있습니다.
이렇게 길이 없어 남의 땅을 거치지 않고서는
진입할 수 없는 땅을 법률용어로 맹지(盲地)라고 하며,
맹지 A의 주인이 자신의 땅을 위해
B땅을 길로써 이용하려고 할 때
하는 것이 지역권입니다.
특히 길로 쓸 권리(Right of way)인 통행지역권이죠.
이때 맹지 A는 지역권으로 이득을 얻는 땅으로
요역지(Dominant parcel)라고 하며,
땅 B는 지역권으로 이득을 주는 땅으로
승역지(Servient parcel)라고 합니다.
토지 편익을 어떻게 쓸지는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만
비교적 자주 언급되는 건 위처럼 길로 쓰는 통행지역권,
요역지에서 농사를 지을 때
승역지에서 물을 끌어오는 용수지역권이나
요역지에 햇빛을 가리지 않게
승역지의 건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일조지역권,
일조지역권과 유사하게
요역지에서 주변 풍경을 볼 수 있게
승역지의 건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관망지역권 따위가 있습니다.
한 가지 짚고 가자면 지역권은 어디까지나
'요역지의 가치를 높이도록'하는 거지
'요역지 주인의 개인적 이익이 되도록'하는 건 아닙니다.
(예를 들면 A땅 주인이 B땅에 쓰레기를 매장할 수 있게 한 건 지역권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한 가지 알 수 있는 점은
지역권은 땅과 분리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지역권은 땅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땅이 없는 자에게 지역권만을 넘기는 건
말이 안 되기 때문이죠.
땅을 넘기지 않고서 지역권만 타인에게 넘길 수는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요역지를 다른 사람에게 넘기면
지역권도 요역지를 따라 다른 사람에게 이전됩니다.
단, 당사자간 안 그러기로 정했다면 안 그럴 수 있습니다.
앞서 본 지상권의 경우에는
타인에게 넘길 수 있던 것과는 대조되죠.
(https://m.fmkorea.com/3162040290)
지역권은 중복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은 토지가 있는데 A는 길과 연결됐고,
B는 확실한 맹지이며,
C와 D는 길과 접촉한 토지가 고도가 높아
길과 연결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면
B, C, D 땅 모두 A를 거쳐서 길로 갈 수밖에 없습니다.
이때 B, C, D 모두 A에 통행지역권을
중복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 용수지역권은 좀 특이한 게 있는데
복수의 용수지역권이 설정된 경우
먼저 설정한 지역권자가 늦게 설정한 지역권자보다
용수이용의 우선권을 가집니다.
A에서 B, C, D 순서로 용수지역권을 얻었다면
B는 자신이 용수를 이용할 만큼까지 C와 D가
용수를 못 쓰게 할 수 있고,
C는 B가 다 쓴 후 자신이 용수를 이용할 때 D가
용수를 못 쓰게 할 수 있습니다.
지역권은 유상이든 무상이든 가리지 않고
계약으로 이뤄지기도 하지만
오랫동안 지역권이 있는 것처럼 써왔다면
취득할 수도 있습니다.
지역권취득기간은 민법 제245조인
점유로 인한 부동산소유권의 취득기간을 따라갑니다.
'소유권과 관련해 흥미로운 내용이 있나요?'
(https://m.fmkorea.com/3116547252)
에서 소개해드렸듯이
소유의 의사로 부동산을 20년 동안
문제되지 않고 공공연하게 점유했다면
등기를 하여 그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지역권은 이에 따라 20년 동안
문제되지 않고 공공연히 지역권이 있는 것처럼 해왔다면
등기를 하여 지역권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내 땅으로 갈 때 20년 동안 남의 땅을
공공연히 길처럼 쓰고 길로 쓰는 걸 그 땅주인도
딱히 문제삼지 않았다면 등기로 통행지역권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단, 등기는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처럼 그 땅주인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보통은 순순히 해주지는 않죠.)
지역권도 물권이므로 지상권처럼
땅주인이 바뀌어도 효력이 있습니다.
만약 단순히 지역권 효력과 동일한 토지 사용승락을 받고
다른 사람의 땅을 쓰고 있었다면
땅주인이 바뀌었을 때 대항할 수 없죠.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드링크의 주 원료 타우린의 모든것 (0) | 2021.04.14 |
---|---|
위스키의 역사와 종류 (0) | 2021.04.10 |
지상권이란 (1) | 2021.04.08 |
근저당과 저당권의 차이 (0) | 2021.04.07 |
알아두면 좋은 상식 (0) | 2021.03.3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무가입 토렌트
- 일본
- 주식
- 북한
- 토렌트 추천
- 러시아
- torrent 사이트
- 문제 해결
- 과학
- 중국
- 타이완
- 코로나
- 호주
- 프랑스
- 가입 필요없는 토렌트 사이트
- 문제해결
- 8.15
- 토렌트 사이트
- 광복절
- 이스라엘
- 토렌트
- torrent
- 대만
- torrent 추천
- 815
- 영국
- 전쟁
- 한국
- 미국
- 무삭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