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말부터 고 이건희 회장이 소장했던 미술품에 대한 시가 감정이 진행중임 근데 이게 워낙 많다보니 대 프로젝트가 되었음 삼성이 법무법인 김앤장을 통해서 한국미술품감정연구센터 등 세 곳에 맡긴게 총 13,000 여 점임 거기다 단순히 양만 많은것도 아님 미술에 아예 관심 없는 사람들도 알만한 작품들이 있었는데 대표적인거 몇개만 꼽아보면 이중섭 국보 216호 정선 국보 11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169호 청자 양각죽절문 병 이외에도 모네의 수련, 피카소의 도라 마르의 초상, 김환기 등등 어디서 들어봤을만한 예술가들, 작품들을 많이 소장하고 있었음 국보급(국보 + 보물)만 해도 152점 이라고함 (대한민국 전체 국보 300여 점 중 약 11%, 보물 약 2100여 점 중 약 4% 정도) 참고로 록펠..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1974년 8월 15일 -노선 길이: 200.6km -소요산~인천/신창/광명/서동탄 연결 -코레일 및 서울교통공사 산하 -대한민국 최초 광역전철 -서울전차 폐지 이후 과포하 된 상태의 서울 사대문 안 도로 교통 분산하기 위해 구축 -서울~인천/경기/충청남도 간 운송 수단 구축 ------------------------------------------------------- 1호선은 1기 지하철 답게 서울의 도심을 관통하는 노선이다 (소요산역~인천역 경로) 그렇기에 만약 노선을 함부로 건든다면 서울 뿐만 아니라 수도권 교통이 막장이 될 수 밖에 없다 승하차 승객 수만 해도 서울 2호선 다음으로 많고, 1호선은 서울과 인천, 경기도와 충청남도의 주요 도시를 이어주는 노선이..

-역대 월드컵 공인구 모음- 월드컵에 공인구가 생긴 이유는 제 1회 월드컵인 우루과이 월드컵 당시 나라마다 사용하던 공이 달랐는데 결승전에서 아르헨과 우루과이가 모두 각자의 공을 쓰겠다고 싸워 결국 전반에는 아르헨의 공, 후반에는 우루과이의 공을 써서 경기를 치뤘다 따라서 FIFA는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월드컵에서는 '인정구' 라고 하여 매치볼을 개최국의 재량으로 만들게 하다가 1970년부터 FIFA 재량으로 자체 공인구를 만들게 되었다 ------------------------------------------------------- 1970 멕시코 월드컵 이름: 텔스타(Telstar) -배구공과 비슷한 이미지를 탈피한 첫 공인구 -흑백 텔레비전에서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하양/검정의 5/6각형 혼합..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전경 러시아에서 고객 및 직원수 측면에서 가장 큰 신용평가회사인 RAEX에서는 매년 러시아 대학순위 TOP100을 발표하고있습니다. 그중 TOP 10 대학교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В. Ломоносова 학생수 - 38000여명 학생 100명당 교원수 - 20명 외국인학생수 - 3900여명 2위 모스크바 물리-기술대학교 Московский физик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학생수 - 8500여명 학생 100명당 교원수 - 20명 외국인학생수 - 1000여명 3위 모스크바 민족 원자력연..

과거에는 특별한 장소가 아니면 수입 맥주를 구하는 것은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어디에서나 쉽게 코젤, 블랑, 호가든, 산미구엘, 아사히, 칭따오 등등 다양한 맥주를 마실 수 있습니다. 또한 편의점, 슈퍼마켓, 마트 등 우리 생활 밀접한 공간에서 만날 수 있어 수입 맥주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농수산물유통공사(aT)에 따르면 13년도에 병맥주 기준(360ml)으로 1인당 맥주 연간 소비량이 148.7병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1인당 연간 맥주 소비량이 약 54L, 일주일에 1L꼴로 맥주를 마신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렇게 자주 많이 마시는 맥주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사실실 많은 사람들이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맥주에 대해서 잘 모르는 편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

중국은 경제가 급속히 성장한 1980년대 이후 국방현대화를 시작했으며 1991년 걸프전 당시 미국이 첨단 무기들을 동원해 전쟁을 치루는 모습을 지켜보고 국방현대화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습니다. 이후 2015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강군몽을 목표로 중국군 개혁 방안을 제시했고 2017년 제19차 공산당 대회에서는 2035년까지 중국군 현대화를 이루고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49년에 세계 일류군대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참고로 중국의 국방비는 2017년 약 171조 원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국방비가 증가하고 있는 일본의 4배를 넘는 수준으로 엄청납니다. 그러자 중국이 미국 군사력을 뛰어넘는게 아니냐는 이야기들도 자주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과학원이 발표한 ..
- Total
- Today
- Yesterday
- 미국
- 중국
- 815
- 문제해결
- 호주
- 무가입 토렌트
- 한국
- 타이완
- 러시아
- 토렌트 추천
- 주식
- 토렌트 사이트
- 영국
- torrent 추천
- 광복절
- 북한
- 이스라엘
- 대만
- 가입 필요없는 토렌트 사이트
- 일본
- torrent 사이트
- 과학
- 코로나
- 전쟁
- 토렌트
- 프랑스
- 무삭제
- torrent
- 8.15
- 문제 해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